"원융부" 국어사전 정의

원융-부 圓融府

한자 단어 한자어

발음

[워늉부]

명사

  1. 불교 고려 공민왕 5년(1356)에 구산(九山)을 통합하기 위하여 태고(太古) 보우(普雨)를 중심으로 세운 불교 기관.

관련 어휘

국어사전

  • 원융 1 元戎
    1. 명사 군사의 우두머리.
  • 원융 2 圓融
    1. 원융하다’의 어근.
    1. 부사 공장이나 기선 따위에서 내는 굵고 낮은 소리.
    1. 의존 명사.
  • 3
    1. 명사 문어체에서, ‘남편’을 이르는 말.
  • 4
    1. 명사 우리나라 성(姓)의 하나. 본관은 제주(濟州) 하나뿐이다.
  • 5
    1. 명사 문어체에서, ‘아버지’를 이르는 말.
  • 8
    1. 명사 고려 시대에 둔, 지방 행정 구역 단위의 하나. 목(牧) 아래, 군(郡)의 위이다.
    2. 명사 조선 시대에 둔, 도(道)와 같은 등급의 고을. 광주(廣州)ㆍ경주ㆍ전주ㆍ함흥ㆍ평양ㆍ의주의 여섯 곳이 있었다.
    3. 명사 갑오개혁 때 설치한 가장 큰 지방 행정 구역의 단위. 8도(道)를 23부(府)로 개편하였다가 1년 뒤에 13도로 고쳤다.
    4. 명사 일제 강점기에, 군(郡)보다 위의 등급으로 설치한 지방 행정 구역. 지금의 시(市)에 해당하는 것으로, 전국 열두 곳에 두었다.
  • 10
    1. 명사’의 전 용어.
    2. 의존 명사 논밭 넓이의 단위. 세금을 계산할 때 썼다. 한 부는 한 뭇의 열 배, 한 동의 10분의 1로, 그 넓이는 시대에 따라 달랐다.
  • 11
    1. 명사 문어체에서, ‘아내’를 이르는 말.
  • 14
    1. 명사 고려ㆍ조선 시대에, 세자나 세손의 교육을 맡아보던 일품 벼슬. 사(師)의 아래이다.
  • 15
    1. 명사 넉넉한 생활. 또는 넉넉한 재산.
    2. 명사 특정한 경제 주체가 가지고 있는 재산의 전체.

위키백과

  • 부는 가치 있는 물질적 소유물, 또는 자원의 풍요로움을 뜻한다. 또, 인간의 노동을 구매할 수 있는 권한이 축적되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 부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부(富)는 넉넉한 생활, 또는 넉넉한 재산을 뜻한다. ...
  • 불교 용어 수번뇌 심소법
    부는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에서 심소법 중 소번뇌지법 가운데 하나이며,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5위 100법에서 심소법의 수번뇌심소 중 소수번뇌심소 가운데 하나이다.
  • 운문 중국의 시
    부는 고대 중국의 운문 문체의 일종이다. 한나라를 대표하는 문예로, 전국 시대부터 발생하여 청나라 때까지 존속되었다.
  • 번뇌 불교 용어 심소법
    불교 용어로서의 부에는 다음의 것들이 있다. 부(部): 구분부류부문, 예를 들어, 5부(五部)《상응부(相應部)》, 부(部): 부파분파종파, 예를 들어, 5부(五部)살바다부(薩婆多部), 부(覆): 잡염 즉 번뇌, 예를 들어, 유부무기(有覆無記)무부무기(無覆無記), 부(覆): 부(覆)의 마음작용, 부(部): 구분·부류·부문, 부(部)는 '구분, 부류, 부문'의 뜻으로, 예를 들어, 다섯 가지 또는 다섯 갈래의 구분부류 또는 부문이라는 뜻의 5부(五部)가 있다. 5부(五部)에는 다음의 것들이 있다. ...
  • 몸울림악기 악기 타악기
    부는 한국의 전통 무율 타악기이다. 토부악기·몸울림악기· 아악기로 분류된다. 진흙으로 구운 질화로 모양의 그릇을 대나무를 갈라 만든 견죽이라는 채로 쳐서 소리낸다. 문묘제례악에 쓰이는 매우 보기 드문 악기이다. 중국에서 상고시대부터 쓰던 악기로 우리나라에는 언제 들어왔는지 모르나 조선 세종 때 박연이 전에 있던 것을 바로 잡은 기록이 있다. 예전에는 각각 여러 음을 내는 제도가 있었으나 지금은 한 개만 쓰며 음높이에 관여하지 않는다.
  • 일본의 행정 구역 조선의 행정 구역 행정 구역 단위
    부는 행정 구역 중의 하나이다.

국어사전

    1. 명사 비나 눈이 오는 날 잠깐 났다가 숨어 버리는 볕.
  • 여의봉 如意棒
    1. 명사 자기 뜻대로 늘어나게도 오므라들게도 하여 마음대로 쓸 수 있다는 몽둥이.
  • 연예병 演藝兵
    1. 명사 예전에, 연극ㆍ음악ㆍ오락 따위로 부대를 위문하는 임무를 맡은 병사를 이르던 말.
  • 외음부 外陰部
    1. 명사 생식 기관 가운데 몸 밖으로 드러나 있는 부분. 남성의 음경(陰莖)과 음낭(陰囊), 여성의 대음순ㆍ소음순ㆍ질 입구 주름 따위이다.
  • 의용병 義勇兵
    1. 명사 국가나 사회의 위급을 구하기 위하여 민간인으로 조직된 군대의 병사.

위키백과

  • 앤아버
  • 번뇌 불교 용어
    잡염
  • 1930년대를 배경으로 한 영화 1940년대를 배경으로 한 영화 1980년대를 배경으로 한 영화 2010년 영화 굴라크를 소재로 한 작품 러시아를 배경으로 한 영화 모로코에서 촬영한 영화 몽골을 배경으로 한 영화 미국의 드라마 영화 미국의 생존 영화 미국의 영화 작품 미국의 전쟁 영화 불가리아에서 촬영한 영화 생존 영화 실화를 바탕으로 한 드라마 영화 영어 영화 작품 인도를 배경으로 한 영화 인도에서 촬영한 영화 제2차 세계 대전 영화 죽음을 소재로 한 영화 중국을 배경으로 한 영화 폴란드를 배경으로 한 영화 피터 위어 감독 영화
    《웨이 백》은 피터 위어가 감독하고 2010년에 개봉한 생존 드라마 영화로, 위어와 키스 클라크가 각본을 썼다. 이 영화는 제2차 세계대전 기간에 소비에트 연방의 굴라크에서 탈출해 약 6400km를 걸어 자유를 찾았다고 하는 폴란드의 옛 포로 스와보미르 라비치의 회고록 얼어붙은 눈물에서 영감을 받았다. 짐 스터게스, 콜린 패럴, 에드 해리스, 시얼샤 로넌과 알렉산드루 포토찬, 세바스찬 우르젠도스키, 구스타프 스카르스고르드, 드래고스 버커, 마크 스트롱이 출연한다.
  • ERB

모음이 "ㅝㅠㅜ"인 단어

위키백과

  • 1975년 출생 대한민국의 만화가 대한민국의 삽화가 대한민국의 웹툰 작가 살아있는 사람 홍익대학교 동문
    권윤주는 스노우캣이라는 필명으로 알려진 대한민국의 웹툰 작가이다. 스노우캣은 웹툰에서 사용하는 권윤주의 아바타로, 일러스트레이터로 활동할 때는 스노우캣이라는 필명을 사용하지 않는다.
  • 1957년 출생 경인교육대학교 동문 살아있는 사람
    원유순은 대한민국의 동화작가이자 초등학교 교사이다. 경인교육대학교를 졸업하고 1978년 인천광역시 백석초등학교에서 교사 생활을 시작했다. 1990년『아동문학평론』으로 신인상 수상했고 1993년 계몽사 아동문학상을 받으며 두각을 나타냈다. 2011년 제43회 소천아동문학상을 수상했다.
  • 원윤수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원윤수(元胤洙, 1887 ~ ?)는 일제 강점기의 기업인이다. ...

한글 애너그램 (세부 분할): ㄴㅂㅇㅇㅇㅓㅜㅜ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