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거 自轉車
발음
[자전거]
명사
-
사람이 타고 앉아 두 다리의 힘으로 바퀴를 돌려서 가게 된 탈것. 안장에 올라앉아 두 손으로 핸들을 잡고 두 발로 페달을 교대로 밟아 체인으로 바퀴를 돌리게 되어 있다. 바퀴는 흔히 두 개이며 한 개짜리나 세 개짜리도 있다.
- 예문 경주용 자전거.
- 예문 자전거를 타다.
- 예문 물건을 자전거로 실어 나르다.
- 예문 자전거 한 대를 새로 샀다.
- 예문 집에서 학교까지 자전거로 달리면 5분도 안 걸린다.
- 예문 동네 사람들은 그가 아침저녁으로 음식 재료를 가득히 담아 싣고 힘겹게 자전거 페달을 밟아 대고 있는 광경을 볼 수 있었다. ≪김원우, 짐승의 시간≫
위키백과
-
19세기 발명품 스코틀랜드의 발명품 적정기술 탈것 프랑스의 발명품자전거는 일반적으로 바퀴 두 개로 구성되어 사람의 힘으로 움직일 수 있는 교통 수단이다. 사람이 타고 앉아 두 다리의 힘으로 바퀴를 돌려서 갈 수 있으며, 안장에 올라앉아 두 손으로 핸들을 잡고 두 발로 페달을 교대로 밟아 체인으로 바퀴를 돌리게 되어 있다. 바퀴는 흔히 두 개이며 한 개짜리나 세 개짜리도 있다. 바퀴 두개를 연결하는 구조 위에 안장을 두어 사람이 올라 탈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발로 발판을 밟아 앞으로 나갈 수 있다. 자전차라는 낱말도 쓰이지만 대한민국 국어사전에서는 자전거의 잘못이라고 표기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자행차 또는 자유차, 대만에서는 각답차라고 부르며 전기자전거가 발달되었다.
-
1933년 노래 한국의 동요자전거는 목일신 작사, 김대현이 작곡한 대한민국의 동요이다.
관련 어휘
국어사전
-
자전 1 子錢
- 명사 꾼 금전(金錢)에 대하여 일정한 비율로 무는 돈.
-
자전 2 字典
- 명사 한자를 모아서 일정한 순서로 늘어놓고 글자 하나하나의 뜻과 음을 풀이한 책.
-
자전 3 自全
- 명사 스스로 편안하고 온전함. 또는 그렇게 되게 함.
-
자전 4 自前
- 명사 지금보다 이전.
-
자전 5 自專
- 명사 자기 마음대로 결정하여 처리함.
-
자전 6 自傳
- 명사 작자 자신의 일생을 소재로 스스로 짓거나, 남에게 구술하여 쓰게 한 전기.
-
자전 7 自轉
- 명사 저절로 돎.
- 명사 천체(天體)가 스스로 고정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함. 또는 그런 운동.
-
자전 9 紫癜
- 명사 살갗에 자주색의 반점이 생기는 병증.
-
자전 10 嗞煎
- 명사 어린아이가 가슴이 답답하여 불안해하는 증상.
-
자전 11 慈殿
- 명사 임금의 어머니를 이르던 말.
-
거 1
-
거 2
- 대명사 ‘거기’를 구어적으로 이르는 말. 처소격 조사 ‘에’가 붙을 때에는 ‘게’로 형태가 바뀐다.
-
거 3
- ‘거하다’의 어근.
-
거 4 居
- ‘거하다’의 어근.
-
거 5 距
- 명사 새 수컷의 다리 뒤쪽에 있는 각질의 돌기물.
- 명사 꽃받침이나 꽃잎 밑부분에 있는 자루 모양의 돌기. 가운데에 가늘고 긴 꿀샘이 있는데 난, 제비꽃, 물봉선화 따위에서 볼 수 있다.
-
거 6 筥
- 명사 운두가 높게 대를 결어서 만든, 쌀을 담는 광주리.
-
거 7 鋸
- 명사 나무나 쇠붙이 따위를 자르거나 켜는 데 쓰는 연장. 강철로 된 얇은 톱양에 날카로운 이가 여럿 있고 용도에 따라 그 모양이 다르다.
-
거 8 簴
- 명사 편종, 편경(編磬) 따위를 달아 놓은 틀의 기둥 나무.
위키백과
-
천체역학자전은 천체가 자기 자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운동이다. 따라서 천체가 스스로 고정된 자신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또는 그런 운동을 가리킨다. 대부분의 천체는 자전하고 있다. 태양이나 다른 항성들은 자전하고 있으며 블랙홀도 자전하고 있음이 확인된 것이 있다. 또한 펄사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중성자별로 생각된다.
-
→ 한자사전
-
거는 다음을 의미한다. 거(距): 며느리발톱, 거(距): 꿀주머니, 거(鋸): 연장으로서의 톱 ...
"자전거" 발음 유튜브 영상
초성이 "ㅈㅈㄱ"인 단어
국어사전
위키백과
-
1964년 출생 게이오기주쿠 대학 동문 대한민국의 국제 관계 연구자 대한민국의 대학 교수 대한민국의 대학 총장 부산광역시 출신 살아있는 사람 시러큐스 대학교 동문 인동 장씨 조지 워싱턴 대학교 동문장제국은 대한민국의 교육인으로, 동서대학교 총장이다.
-
→ 전원관
-
제 장공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제 장공(齊莊公 ? ~ 기원전 731년, 재위: 기원전 794년 ~ 기원전 731년)은 중국 춘추 시대 제(齊)나라의 12대 후작이다. ...
-
기원전 10세기 중국 사람 기원전 10세기 중국의 군주 제나라 군주제 정공은 중국 제나라의 제2대 후작이다. 이름은 급이다. 《사기》에서는 '정공 여급'이라고 언급하고, 《춘추좌씨전》에서는 '여급'이라고 언급한다.
-
국제법 독립 주권 행정 구역 단위종주권은 주권과는 다른 개념으로 한 국가를 다른 나라가 속방으로 대하여 외교 정책 및 외교 관계를 통제하면서 속방의 내부 자주권을 갖도록 하는 관계이다. 이러한 국가를 종주국이라 한다.
모음이 "ㅏㅓㅓ"인 단어
국어사전
위키백과
-
→ 라틴어
-
1900년 완공된 건축물 전라북도의 누정 전라북도의 문화재자료 조선의 건축물낙덕정은 전라북도 순창군 복흥면 상송리에 있는 정자이다. 1984년 4월 1일 전라북도의 문화재자료 제72호로 지정되었다.
-
울산광역시의 하천삼정천은 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읍 삼정리의 들반수골에서 발원하여 대체로 북동류하고 동해고속도로의 삼정천교 부근에서 동류, 광산농원 부근에서 남동류 덕하리에서 대체로 동류하다가 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읍 덕하리의 청량천으로 흘러드는 강이다.
-
-
1987년 출생 20세기 대한민국 사람 21세기 대한민국 사람 K3리그 (아마추어)의 축구 선수 K리그1의 축구 선수 K리그2의 축구 선수 강원 FC의 축구 선수 고양 KB국민은행 축구단의 축구 선수 남자 축구 윙어 내셔널리그의 축구 선수 대한민국의 남자 축구 선수 살아있는 사람 수원 FC의 축구 선수 시흥시민축구단의 축구 선수 우석대학교 동문 초지고등학교 동문하정헌은 대한민국의 전직 축구 선수이다. 현역 시절 포지션은 공격수였다.